날아다니는 종합기상관측소, ‘기상항공기’ 날개를 펴다

기상청(청장 남재철)은 12월 20일(수) 10시 김포공항에서 국내 최초로 도입한 ‘기상항공기의 취항식’을 개최한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책임운영기관)이 주관하는 이번 취항식에는 정부와 국회, 전문가 및 언론 등 각계의 주요인사 100여명이 참석하여, 테이프 커팅과 기상항공기 소개 및 지상주행 등을 실시한다.

기상항공기는 미국 비치크래프트(Beechcraft)사의 킹에어 350HW(King Air 350HW) 기종으로, △높이 4.4m △길이 14.2m △폭 17.7m의 기상관측 전용 비행기이다.

이 비행기에는 14종 25개의 첨단 기상관측장비가 장착·탑재(붙임2)되어 있으며, 기상관측을 위해 최대 6시간 동안 비행이 가능하고, 최고 32,000ft(약 10km) 고도까지 비행이 가능하다.

이 항공기는 김포공항을 근거지로 하여 연간 400시간 운항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한반도 공역에서 기상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태풍 △집중호우 △대설 등 계절별 위험기상과 해상 기상현상에 대한 선행 관측과 △대기오염물질 측정 △황사·미세먼지 △방사선 탐사 등 현상별 대기질 관측을 수행한다.

또한, 온실가스를 포함한 주요 기후변화 원인물질을 관측하며, 구름의 물리적 특성을 관측하고 인공증설·증우실험을 수행한다.

기상청은 앞으로 기상항공기 관측을 통해 △지상 관측망 △인공위성(천리안) △기상관측선박(기상1호)의 산출 정보와 함께 한반도의 종합적 입체관측망을 완성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재철 청장은 “기상항공기는 날아다니는 최첨단 기상관측장비로 기상재해에 대한 깊은 이해와 대응능력을 강화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상항공기 분야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라고 밝혔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