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의 역습
2019년 5월 한 사람이 매주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무게로 따지면 볼펜 한 자루와 맞먹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었다. 2018년에는 세계 주요 생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돼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2017년에는 국내 정수장에서 조사한 수돗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기도 했다. 최근 미세플라스틱이 새로운 환경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한 사람이 매주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은 2000개쯤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무게로 환산하면 5g이나 된다. 즉 1주일에 볼펜 한 자루나 신용카드 한 장을 먹고 있는 셈이다. 한 달이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이 칫솔 한 개 분량인 21g에달하고, 1년이면 그 섭취량이 250g을 넘어선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물을 통해서 먹게 된다. 물을 마실 때 1769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을 비롯해 갑각류에서 182개, 소금에서 11개, 맥주에서 1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옷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면, 매우 작은 미세섬유 형태의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온다. 영국 폴리머스대 연구진에서 빨래할 때 얼마나 많은 미세섬유가 생기는지 실험했다. 즉, 아크릴 옷, 폴리에스터 옷, 폴리에스터와 순면을 섞은 옷으로 구분해 각각 6kg씩 세탁기에 넣고는 30~40℃의 물에서 빨래한 뒤 세탁기 밖으로 나온 물을 현미경으로 살펴봤다. 그 결과 아크릴 옷에서 약 73만 개, 폴리에스터 옷에서 약 50만 개, 순면을 섞은 옷에서 약 20만 개의 미세섬유가 각각 배출됐다.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위해성은?
미세플라스틱을 없애려는 노력
현재 유럽연합 차원에서는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정책을 펴고 있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미세플라스틱 사용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나서고 있다. 2019년 11월 환경부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일종인 마이크로비즈를 2021년부터 화장품, 세정제, 연마제 등에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안전확인 대상 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 기준 개정안’을 공개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 플라스틱(옥수수, 사탕수수, 대나무 같은 바이오매스를 주원료로 하는 플라스틱)도 기존 플라스틱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플라스틱은 햇빛, 열, 미생물, 효소, 화학 반응
등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기존 플라스틱보다 훨씬 더 빠르게 분해된다. 미국 조지아공대 칼슨 메러디스 교수 연구진은 식물 섬유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와 게, 새우 껍질 등에서 추출할 수 있는 키틴 성분을 이용해 투명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BPF)’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는 일반 비닐 소재의 포장용 랩 대신 쓸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 임현의 연구팀에서는 생분해성 키토산을 이용한 나노입자 코팅 공정으로 자기세정과 반사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를 제작하기도 했다. 기존 나노 가공 공정에 사용된 폴리스틸렌은 환경호르몬이 나오고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켜 문제였는데,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는 연구성과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