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의 김위원장 일정 요약
김정은 위원장은 전용열차로 지난 26일 오전 8시 10분(이하 현지시간) 베트남의 중국 접경지인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해 전용차로 바꿔 타고 170㎞를 달려 수도 하노이로 이동, 오전 11시 숙소인 멜리아호텔에 여장을 풀었다.
베트남에 도착한 뒤 첫 외부일정은 현지 북한대사관 방문이었다. 그는 오후 5시께 숙소를 나서 북한대사관에서 50여분 간 김명길 대사를 비롯한 현지 북한 주민들을 격려했다. 숙소로 돌아간 김 위원장은 27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에 돌입하기 전까지 꼭 24시간 동안 밖으로 나오지 않고 미국과 담판 전략을 검토하는 데 집중했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8개월만의 ‘재회’는 27일 오후 6시 28분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이뤄졌다.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30분 정도 배석자 없이 단독 회담을 한 뒤 오후 7시 9분께부터 약 1시간 40분간 외교안보 핵심 참모 각 2인씩을 동반한 친교 만찬을 했다.
첫날 총 130분가량의 대좌를 통해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어떻게 교환할 것인지 의중을 탐색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28일에는 오전 8시 55분께부터 메트로폴 호텔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만나 ‘본격 담판’에 들어갔다.
김 위원장은 회담 첫 순서였던 단독회담 모두발언에서 “자신 있느냐”라는 미국 측 취재진 질문에 “나의 직감으로 보면 좋은 결과가 생길 거라고 믿는다”고 답변해 성과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 문답은 김 위원장이 외국 언론의 질문에 사상 처음 답변한 사례로 기록되기도 했다. 30여분간의 단독회담을 마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별도의 ‘4인 회동’을 가졌다. 이어 리용호 외무상과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추가로 배석한 확대회담이 진행됐다. 확대회담장에서는 ‘비핵화 준비가 됐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런 의지 없다면 여기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해 회담 성과에 대해 기대감을 키웠다.그러나 김 위원장의 직감은 빗나갔고, 영변 핵시설 폐기와 제재 해제의 교환을 두고 끝내 접점을 찾지 못한 북미 정상은 결국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은 채 각각 숙소로 복귀했다.
회담 결렬 뒤 1시간에 걸친 기자회견으로 미국의 입장을 설명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김 위원장은 숙소에서 두문불출했다. 대신 리용호 외무상을 내세운 ‘심야 회견’으로 여론전 방어에 나섰다. 북미정상회담 합의 실패 후 김 위원장이 다시 바깥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꼬박 26시간 만이었다. 3월 1∼2일로 잡힌 베트남 ‘공식친선방문’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서였다. 김 위원장은 1일 오후 3시 30분께부터 베트남 주석궁에서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과 만나 정상회담을 했다. 북미협상 결렬의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가운데서도, 김 위원장은 조부 김일성 주석 이후 55년 만에 베트남을 방문한 북한 최고지도자로서 일정을 수행했다.
그는 북미정상회담 지원에 대해 “성심성의로 모든 것을 다 해서 보장해주신 데 대해서 정말로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쫑 주석에게 감사를 표했다. 경제와 과학기술, 국방 등 모든 분야에서 베트남과의 교류협력을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이날 베트남 권력서열 2, 3위인 응우옌 쑤언 푹 총리, 응우옌 티 낌 응언 국회의장을 잇달아 만난 뒤 약 2시간 30분에 걸쳐 쫑 주석과 환영만찬도 가졌다. 그러나 당초 예상됐던 경제현장이나 관광지 시찰 등은 없었다. 합의 없이 끝난 북미정상회담의 허탈함이 일정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체류 마지막 날인 2일, 김 위원장은 오전 9시 30분께 4박 5일간 묵었던 멜리아 호텔을 나섰다.그는 마지막 일정으로 ‘베트남의 국부’이자 할아버지 김일성과 긴밀한 유대를 지녔던 호찌민 전 베트남 국가주석 묘소를 찾아 헌화했다. 하노이에서 다시 차를 타고 낮 12시 30분께 동당역에 도착, 대기하던 전용열차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