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행안부 장관, 참사 늑장대응
재난 대응 주무부처 수장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태원 압사 참사 발생 1시간여가 지난 후 상황을 처음 인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행안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사고 당일인 지난달 29일 사고 발생 1시간여 뒤인 오후 11시 20분에 경찰 직보가 아닌 행안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의 긴급문자(크로샷)를 통해 사고 사실을 처음 인지했다.
소방 당국으로 관련 신고가 오후 10시 15분에 처음으로 접수된 후, 재난안전 상황보고체계에 따라 오후 10시 48분 소방청 상황실이 행안부 상황실에 소방대응 1단계 보고를 했고, 10시 57분 행안부 상황실이 내부 공무원들에게 1단계 긴급문자를 발송했다.
이후 11시 19분에는 소방대응 2단계 보고를 받아 긴급문자를 발송했다. 통상 소방대응 2단계부터 행안부 장관에게 긴급문자가 전송돼 이 장관의 인지가 늦었다는 설명이다.
당초 행안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이 장관이 오후 11시 19분 긴급문자를 직접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안부는 1시간가량 지나 정정자료를 내고 “장관은 23시 19분 발송된 긴급문자를 장관비서실의 직원을 통해 11시 20분 처음 받고 사고 발생을 인지했다”며 “23시 31분에는 행안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장으로부터 이태원 사고 관련 상황보고를 받았다”고 다시 설명했다.
문자에는 사고 발생 개요, 당시 심정지 환자 약 30명 추정 등 피해상황, 대응 상황 등이 담겼다.
이 장관이 이 긴급문자를 직접 수신하지 않고 비서실 직원을 통해 알게 된 이유와 관련, 행안부는 이 장관의 연락처가 크로샷 발송 목록에 미포함돼 있었으며 11시 19분 발송된 크로샷은 비서실 직원을 통해 11시 20분 장관에게 전달됐다고 설명했다.
이 문자는 원래 장관뿐 아니라 행안부 내 주요 간부들에게 일괄 발송되는 문자이며, 소방청 상황실로부터 장관에게로의 직접 보고는 없었다고 한다.
이날 오후 대통령실은 브리핑에서 “사고 발생 38분 뒤인 오후 10시 53분 소방청 상황실에서 대통령실 국정상황실로 사고 내용을 통보했다”며 “사고 상황을 확인한 국정상황실장은 오후 11시 1분 윤 대통령께 사고 발생 사실을 보고했다”고 전했다.
대통령실은 소방청 상황실이 행안부 장관을 거치지 않고 대통령실로 직접 보고한 것에 대해 통상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소방청 상황실이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에 직보한다고 설명했다.
재난대응의 시급성을 고려하면 국내 재난대응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대통령실에 직보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