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 보조금, 국산 버스를 말라죽인다.

한국에서 중국산 저가 전기버스가 국산 전기버스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대당 최대 3억원에 달하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을 등에 업고서다. 한국산 배터리를 얹은 전기차에 보조금을 주지 않는 중국 정부의 노골적 ‘차별 정책’과 대조적이다.

中 저가 전기버스 '놀이터' 된 한국

2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공급된 전기버스는 140대(등록 기준)로 집계됐다. 이 중 매그넘(중퉁자동차), e버스-7(비야디), 하이퍼스(하이거) 등 중국산 전기버스가 62대(44.2%)였다. 2016년엔 한 대도 팔리지 않은 중국산 전기버스는 2017년(25대)부터 판매량이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는 더 급증할 전망이다. 한국 업체들이 생산한 모델(4억~5억원)보다 1억원 이상 싼 3억3000만원대에 내놔 한국 시장을 파고들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업체들은 한국 시내버스업체들에 전기버스를 팔 때 정부(약 1억원)와 지자체(약 1억원)에서 보조금을 받는다. 저상버스(장애인을 배려해 차체 바닥을 낮게 제작한 버스)는 9200만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챙긴다. 3000만원 안팎에 중국산 전기버스를, 국산 전기버스는 1~2억에 구입해야하는 업체의 상황에서 애국심만으로 국산 전기버스를 구입하기는 쉽지 않다. 앞으로 이러한 상황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절실하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