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리콜 대상 차주들과 차량화재 피해자들이 뿔났다. 대규모 민사소송에 나서
오늘 리콜을 시작한 BMW에서 또 520d 차량에 화재가 났다. 회사와 정부가 사태에 불을 끄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화재는 연일 발생하고 있다.
또한 BMW 차량 연쇄 화재에 따른 결함 은폐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BMW 리콜 대상 차주들과 차량화재 피해자들이 대규모 민사소송에 나섰다.
BMW 피해자들의 법률대리인을 맡은 하종선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는 차량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BMW 리콜대상 차주 137명과 차량화재 피해자 4명이 서울중앙지법에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고 20일 밝혔다.
신규 및 리스차량 주인들은 BMW코리아와 도이치모터스 등 딜러사들을 대상으로 소를 제기했다. 중고차량 소유주인 경우에는 BMW코리아 측만을 대상으로 했다.
차량화재 피해자 3명은 오는 21일 추가로 소를 제기할 예정이다.
하 변호사는 “화재 피해자들과 리콜 대상 차량 차주들 등 총 500여명이 민사소송에 참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BMW ‘결함은폐 의혹’ 고소인단 총 41명은 BMW코리아와 BMW본사 등 법인 두 곳 등 11명을 자동차관리법위반혐의로 고소했다.
사건 수사를 맡은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지난 13일과 17일 차량화재 피해자들을 고소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또 BMW 결함 사태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국토부 공무원 2명과 환경부 공무원 2명은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환경부와 국토부로부터 관련 자료도 받아 분석하고 있다”며 “공무원들은 필요하면 다시 불러 조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차량 화재로 인해 제조사는 제조사대로 원인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고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불안함과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소비자의 애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며, 제조사는 언 발에 오줌누기 식의 임기응변 회피가 아닌 진정한 책임으로 사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